푸젠 인형극의 차세대 수련생 훈련 전략

중국 2012년 무형유산보호 모범사례 등재 푸젠 인형극은 주로 현악기와 손 인형극으로 구성된 중국의 공연 예술이다. 중국 남동부 복건성의 이 인형극은 연극과 음악의 레퍼토리뿐만 아니라 공연과 인형 제작의 특징적인 기술 세트를 개발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로 인형극을 배우는 청년의 수는 한편으로는 생활...

중국 서예

2009년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4.COM)된 중국의 서예는 볼펜과 컴퓨터의 시대에도 언제나 단순한 의사소통 도구 그 이상의 역할을 해왔다. 실제로 서예는 더 이상 지식인과 공무원의 기본 도구가 아니라 장인과 아마추어 애호가들에 의해 연행이 이어지고 있다. 정보를 기록하든 단순히 아름다운 형태를 만들 든...

유네스코 청년 포럼 : 실크로드 창조와 유산에 관하여

지난 3월 31일부터 4월 5일까지 중국 창샤와 난징에서는 ‘미디어 아트 시대의 청년 창조와 혁신’이라는 주제로 ‘실크로드의 창조와 유산에 관한 제3회 국제청년포럼(이하, IYF3)’이 열렸다. 일주일간 진행된 이번 역량강화 포럼에는 실크로드 주변의 86개 해안 및 내륙 국가에서 120여명이 참가했다. IYF3은 청년들이 문화간...

[인터뷰] 베이징의 ‘무형문화유산 보호 법령’에 대해 논하다

베이징인민대회(시의회 성격)가 지난 달 베이징시의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법령을 승인했다. 신화통신, 씨지티엔, 베이징 치엔롱 등 중국 언론 매체들에 따르면, 이 법령은 오는 6월 시행될 예정이다. 지난해 6월 기준 최근까지 베이징시는 곤극과 경극 등 1만2000 종목 이상을 시 무형유산으로 등록한 바...

인간의 희로애락 담은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전통 인형극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과 모범사례 등에 있는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의 전통 인형극이 5일부터 6일까지 이틀간, 국립무형유산원(전라북도 전주시) 공연장 무대 위에 펼쳐진다. 이들 인형극과 한국의 꼭두각시놀음을 아우른 아시아 4국의 전통 인형극 전승현황과 인형 조종법을 주제로 한 국제컨퍼런스도 마련된다. 인형극은 인형을 소재로 인간의...

2018 동북아시아 소지역 네트워크 회의 개최 (8.28.-30. 몽골)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오는 8월 28일(화)부터 30일(목)까지 3일 간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2018년 동북아시아 소지역 네트워크 회의를 개최한다. 올해로 3회째를 맞는 이번 회의는 유네스코북경사무소와 공동으로 주최하며, 동북아시아 5개국(한국, 중국, 일본, 북한, 몽골) 정부기관 대표와 유네스코 협동학교 관계자들이 모여 지역의 무형유산 보호 활동을 공유하고...

아태지역 퍼실리테이터를 위한 교육자 훈련 워크숍

지난 7월 2일에서 6일까지 중국 항저우에서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이하 2003 협약) 아태지역 퍼실리테이터 네트워크를 위한 교육자 훈련 워크숍이 개최되었다. 이번 워크숍은 유네스코 본부 무형문화유산과 및 유네스코아태국제훈련센터(이하 CRIHAP)의 공동주최로 중국 항저우 시정부의 지원을 받아 개최되었다. 해당 회의에는 기존 및 신규 퍼실리테이터, 전문가,...

탈 문화의 전승·보존과 공유가치 증진을 위한 노력

탈은 인류의 보편 문화로, 각 문화권마다 다양한 양식과 형태와 기능이 존재한다. 탈 문화는 공동체의 문화와 역사를 반영하는 동시에 문화 다양성의 가치를 구현하고 있는 문화유산이라고 할 수 있다.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 인가 비정부기구(NGO)인 세계탈문화예술연맹(International Mask Culture & Arts Organization, 이하 IMACO)은...

아시아 춤의 향연 ‘춤으로 만나는 아시아’ 성황리에 개최

아시아춤문화연구소가 주최하고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가 후원하는 ‘2017 춤으로 만나는 아시아’가 지난 8월 27일과 28일 양일간 부산(국립부산국악원과 공동 개최)과 진주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공연에는 인도네시아, 인도, 중국, 한국 등 아시아지역 4개국과 특별 초청된 태평양지역 뉴질랜드 등 5개 국가의 6개 무용단의 무대가 마련되었다. 먼저 중국을...

2003 협약 종합 성과 체계 개발을 통한 한걸음

유네스코 2003년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이하 “협약”)의 중요성에 대한 여러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이 확연히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몇 년간 협약의 가시성과 그 존재감이 놀라운 속도로 커지고 있다. 그러나 협약의 모니터링과 평가에 관한 기본 체계가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협약 이행의 진척에 관한 신뢰할 만한...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