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리빙헤리티지 시리즈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유네스코 물안보 국제연구교육센터와의 공동협력으로 무형유산 종목도서인 리빙헤리티지 시리즈 편을 발간했습니다. 여섯 번째 시리즈로 출판되는 2022 리빙헤리티지 시리즈 편은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물관리와 물과 문화의 사례를 소개하는 9명의 저자들의 원고를 담았습니다. 본 도서에는 지속가능발전목표 6 (모두를 위한 물과 위생의 이용가능성과...

2021 리빙헤리티지 시리즈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ICHNGO FORUM #HeritageAlive와의 공동협력으로 무형유산 종목도서인 리빙 헤리티지 시리즈 편을 발간하였습니다. 다섯 번째 출판되는 리빙헤리티지 시리즈 편은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의 사례를 소개하는 15명의 저자들의 원고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저자들은 전승 위기에 처한 전통 음악의 현황을 공유하고, 2003년 협약이 강조하는...

인류무형문화유산-세계의 전통무예를 만나다

『인류무형문화유산-세계의 전통무예를 만나다』는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와 유네스코국제무예센터가 공동 발간한 리빙헤리티지 시리즈 의 국문판입니다. 본 도서는 인류무형문화유산인 전통무예의 보호 및 증진을 위한 양 기관의 공동 협력의 결실로 전 세계 곳곳에서 전승되고 있는 무형무예의 소개를 통해 무형유산으로서 전통무예가 시대적·환경적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고 전승되는...

2020 리빙 헤리티지 시리즈 – 전통무예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유네스코국제무예센터와의 공동협력으로 무형유산 종목도서인 리빙 헤리티지 시리즈 편을 발간하였습니다. 리빙 헤리티지 시리즈는 무형유산 특정종목에 대한 지역, 국가 별 전승 및 보호 현황을 다룬 시리즈 도서로 주제별 다양한 지역의 무형문화유산 소개를 통해 유네스코가 강조하는 ‘문화 다양성’을 유지하고 그 가치를 가시적으로...

페칼롱간의 인도네시아 바틱 무형문화유산 교육과 훈련

유네스코는 정부간위원에서 협약의 원칙과 목적을 가장 잘 반영한 프로그램, 프로젝트, 활동을 모범사례로 선정 등재하고 있습니다. 이책은 2009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 유산의 모범사례로 등재된 인도네시아의 바틱 사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살아있는 판당고박물관

유네스코는 정부간위원에서 협약의 원칙과 목적을 가장 잘 반영한 프로그램, 프로젝트, 활동을 모범사례로 선정 등재하고 있습니다. 이책은 2011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 유산의 모범사례로 등재된 판당고박물관의 사례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무형문화유산 보호 모범사례 2012, 2013

2012년에는 긴급보호목록에 4건의 종목이 등재되었고, 무형유산 보호 모범사례로는 2건이 등록되었습니다. 그리고 2013년에는 정부간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4건의 종목이 긴급보호목록에 등재되었고, 1건이 모범사례로 등록되었습니다. 유네스코는 이러한 최근 2년간의 등재 결과를 2종의 도서로 묶어 「2012-2013 긴급보호가 필요한 무형문화유산」과 「2012-2013 무형문화유산 보호 모범사례」의 영어판...

긴급 보호가 필요한 무형문화유산 2012, 2013

2012년에는 긴급보호목록에 4건의 종목이 등재되었고, 무형유산 보호 모범사례로는 2건이 등록되었습니다. 그리고 2013년에는 정부간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4건의 종목이 긴급보호목록에 등재되었고, 1건이 모범사례로 등록되었습니다.유네스코는 이러한 최근 2년간의 등재 결과를 2종의 도서로 묶어 「2012-2013 긴급보호가 필요한 무형문화유산」과 「2012-2013 무형문화유산 보호 모범사례」의 영어판 및...

전통음식(영문)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ICHNGO FORUM #HeritageAlive와의 공동협력으로 무형유산 종목도서인 리빙 헤리티지 시리즈 편을 발간하였습니다. 리빙 헤리티지 시리즈는 무형유산 특정종목에 대한 지역, 국가 별 전승 및 보호 현황을 다룬 시리즈 도서로 주제 별 다양한 지역의 무형문화유산 소개를 통해 유네스코가 강조하는 ‘문화 다양성’을 유지하고...

키르기스스탄의 무형유산(영문)

ICH and society 시리즈 은 무형유산 홍보 도서의 여덟 번째 시리즈로, 키르기스스탄 무형유산의 인식제고를 위해 ICHCAP과 National commission of the Kyrgyz Republic for UNESCO가 2018년부터 2019년 까지 2년에 걸쳐 진행한 공동 프로젝트의 결과물입니다. 키르기스스탄의 무형유산은 소비에트 체제의 여파로 한때 단절의...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