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제3차 동북아 무형유산 보호협력 네트워크 소지역 회의 보고서(영문)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유네스코북경사무소와 공동 주최하고 유네스코몽골위원회가 주관하여 지난 2018년 8월 28일부터 30일까지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형식·비형식 교육에서의 무형유산 보호 촉진을 위한 공동의 노력’이라는 주제로 ‘제3차 동북아시아 무형유산 보호 협력 네트워크 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 본 보고서에는 각 국가별로 이루어진 주제발표, 국가발표를 포함한 무형유산 교육에...

줄다리기 의례와 놀이: 같은 종목, 다양한 접근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이하 센터)는 당진시 지원을 받아 리빙헤리티지시리즈(Living Heritage Series) 두 번째 도서 『줄다리기 의례와 놀이: 같은 종목, 다양한 접근』을 발간했다. 이 도서는 총 7개 국가(캄보디아, 일본, 필리핀, 한국, 태국, 우크라이나, 베트남)에서 연행돼 온 줄다리기를 문화적 다양성과 유사성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이번...

2016 제2차 동북아 무형유산 보호 협력 네트워크 소지역 회의 보고서(영문)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유네스코북경사무소와 공동 주최하고 유네스코몽골위원회가 주관하여 지난 2016년 10월 10일부터 11일까지 양일간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무형유산의 가시성 제고를 위한 미디어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제2차 동북아시아 무형유산 보호 협력 네트워크 회의’를 개최하였습니다. 본 보고서에는 각 국가별로 이루어진 주제발표, 국가발표, 사례발표문 외에도 전체 참가자들이...

아시아 무속유산의 보편성과 다양성: 무속유산의 보호 현황과 과제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2013년 11월 진도군과 공동으로 무속유산에 대한 국제학술심포지엄과 관련 공개행사를 개최하였습니다. 한국무속학회와 세계민족무용연구소의 협력 및 문화재청의 후원을 받아 진행된 본 심포지엄에서는 국제협력을 통해 무속유산을 보호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습니다. 해당 보고서는 심포지엄에서 진행된 발표 및 토론자료를 제공합니다.

동북아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살아있는 유산의 기록 촉진과 정보 교류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몽골 문화체육관광부, 유네스코몽골위원회, 유네스코베이징사무소, 몽골문화유산센터와 공동으로 ‘동북아 무형문화유산 네트워킹 및 정보공유 강화를 위한 세미나’를 지난 2014년 6월 29일부터 7월 3일까지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개최하였습니다. 해당 세미나에서는 동북아지역의 5개국(한국, 몽골, 중국, 일본, 북한)이 한자리에 모여 앉아 동북아 무형유산 보호와 증진에 관련된...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2011-2015 연례보고서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진행한 사업 결과에 대한 연례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해당 보고서에는 5년 간 진행된 사업성과, 예산 및 본부와 관련된 운영 자료 등의 정보가 게재되어 있습니다.

아태지역 무형유산 정책·제도 편람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태지역의 정보공유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무형유산 보호체계에 관한 핸드북을 발행하였습니다. 센터에서 2009년부터 2015년까지 수집한 32개국의 현황보고서를 기반으로, 국가목록과 관련기관 정보 같은 주요 자료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습니다.

2016 문화동반자 연구보고서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2016년 문화동반자 사업의 일환으로 말레이시아, 몽골, 스리랑카 및 통가에서 무형문화유산 분야 전문가를 초청하였습니다. 참가자들은 초청 기간 동안 무형유산 보호제도 비교연구, 지속가능한 발전, 전통의술 및 보호기관과 관련된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