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에서 만나는 무형유산 교사용 지도서

교실에서 만나는 무형유산 (Bringing Living Heritage to the Classroom in Asia-Pacific) 교사용 지도서(Resource Kit)는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와 유네스코방콕사무소, 유네스코아태국제이해교육원이 협력하여 제작되었으며, 학교 정규 교육에 무형유산을 활용하는 교수학습법과 아태지역 6개국(한국, 네팔, 태국, 캄보디아, 키르기스스탄, 카자흐스탄)에서 시행한 시범수업 사례를 수록하고 있습니다.

ORF 지침서-베트남어

정부간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제7차 협약총회에서 종합성과평가체계가 승인되었고(Resolution 7.GA.9), 협약 사무국은 이해관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지침서를 내었습니다. 이에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시아의 다양한 언어로 해당 지침서를 번역하였습니다.

ORF 지침서-태국어

정부간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제7차 협약총회에서 종합성과평가체계가 승인되었고(Resolution 7.GA.9), 협약 사무국은 이해관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지침서를 내었습니다. 이에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시아의 다양한 언어로 해당 지침서를 번역하였습니다.

ORF 지침서-러시아어

정부간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제7차 협약총회에서 종합성과평가체계가 승인되었고(Resolution 7.GA.9), 협약 사무국은 이해관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지침서를 내었습니다. 이에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시아의 다양한 언어로 해당 지침서를 번역하였습니다.

ORF 지침서-네팔어

정부간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제7차 협약총회에서 종합성과평가체계가 승인되었고(Resolution 7.GA.9), 협약 사무국은 이해관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지침서를 내었습니다. 이에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시아의 다양한 언어로 해당 지침서를 번역하였습니다.

ORF 지침서 – 몽골어

정부간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제7차 협약총회에서 종합성과평가체계가 승인되었고(Resolution 7.GA.9), 협약 사무국은 이해관계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지침서를 내었습니다. 이에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아시아의 다양한 언어로 해당 지침서를 번역하였습니다.

2022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및 정보공유 플랫폼(ichLinks) 홍보 브로슈어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무형유산 정보공유 플랫폼(ichLinks) 사업을 홍보하기 위한 브로슈어를 제작하였습니다. 본 브로슈어는 ichLinks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와 플랫폼 운영방식, 참여방법 등에 대해 소개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소개와 2021년 주요 사업성과를 담고 있습니다.

2021 해양 무형유산 전문가 네트워크 회의 자료집

본 자료집은 2021년 10월 29일 개최된 2021년 해양 무형유산 전문가 네트워크 회의의 결과자료집입니다.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와 SPC(태평양공동체사무국)가 공동주최한 상기 회의는 를 주제로 총 9개의 사례 발표로 구성되었습니다. 세션 1에서는 생태문화적 접근을 세션 2에서는 사회문화적 접근을 통한 해안 공동체의 식생활과 문화를 살펴볼 수...

동북아 공유유산 컨퍼런스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는 유네스코북경사무소와 공동 주최하고 유네스코몽골위원회가 주관하여 지난 2021년 9월 10일 온라인으로 동북아 공유유산 탐구와 보호를 주제로 컨퍼런스를 개최하였습니다. 본 보고서에는 동북아 공유유산에 관한 4개국(한국, 중국, 일본, 몽골)의 국가별 사례발표가 담겨 있습니다.

실크로드 리빙헤리티지 네트워크 보고서

본 자료집은 실크로드 지역의 평화의 문화 정착을 촉진하고자 열린 2021년 실크로드 리빙헤리티지 네트워크의 출범식과 포럼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 행사는 10월 28일과 29일 양일간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센터와 국제중앙아시아문제연구소(IICAS), KF 한-중앙아시아협력포럼사무국이 공동으로 주최하였으며, 한국국제교류재단(KF)이 주관하는 공공외교주간 동안 온·오프라인으로 개최되었습니다.

1 2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