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는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아시아 태평양 지역 무형유산의 역할과 위기에 대한 사례 연구를 모집하고자 한다. 본 공모는 기후 변화의 맥락을 포함하여 2003년 협약에 따른 무형유산 보호 및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전체적인 접근 방식에 기여하려는 유네스코의 노력의 틀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접근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정책...
아시아 태평양 지역 무형유산 학교 교육 교안 공모전에서 23개국 96개교의 교안 146개를 접수하였으며 심사를 거쳐 무형유산을 활용한 모범적인 교안을 제시한 6개교를 선발하였다. 각 학교에는 시범수업을 위한 지원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또한 부탄, 중국, 인도, 인도네시아,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네팔, 필리핀, 싱가포르, 베트남...
2003년 10월 17일 채택된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이 창립 20주년을 맞이했다. 2003년 협약은 181개 당사국과 함께 거의 보편적인 범위를 달성하고 문화유산의 개념을 확대하여 살아있는 유산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무형문화유산은 공동체가 스스로 지정하고 소중히 여기며 보호하는 세대 간 전해지는 지식, 관습 또는 살아있는 표현을...
2023년 9월 14일 유네스코 무형유산분야 카테고리 2센터 회의가 2023년 9월 5일과 6일 양일간 불가리아 플로브디프의 작은 대성당에서 개최됐다. 이번 회의는 유네스코본부 무형유산부와 불가리아 소피아에 본부를 둔 남동부유럽 무형문화유산 지역센터가 공동 주최했으며, 서기 5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로마 모자이크 장식이 있는 필리포폴리스...
유네스코 방콕사무소는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ICHCAP)과 유네스코아태국제이해교육원(APCEIU)와 협력하여 ‘2023 아시아태평양 무형유산 교수학습계획안 공모전’을 개최합니다. 학교 수업과 무형유산을 연계하는 혁신적인 수업 계획을 통해 창의성과 교육 전문성을 보여줄 수 있는 이 자리에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교육자들을 초대합니다. 본 공모전은 다양한 공동체의 풍부한 문화적 전통과 관행에...
국제원조 메커니즘은 협약당사국이 무형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실천하는 국가 차원의 노력을 지원하고 있다. 2023년 6월 5일,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 의장단은 긴급지원요청과 준비지원요청 건을 포함한 총 9개의 국제원조 프로젝트를 검토 후 승인했다. 이에 다음과 같이 미화 총 973,539달러가 9개 당사국에 배정되었다. • 아이티의...
유네스코 살아있는유산과(Living Heritage Entity)는 지난 4월 11일, 12일, 14일 세 차례 무형유산보호협약 국제 원조 메커니즘 설명회를 열어 기금 신청 양식과 절차를 안내했다. 250명 이상의 무형유산 보호 분야 관계자들이 영어, 프랑스어, 아랍어, 스페인어로 진행된 온라인 세션에 참석했다. 본 웨비나에서는 2003년 무형유산보호협약의...
유네스코동아프리카사무소의 케냐 카쿠마 난민캠프 프로젝트는 난민 공동체의 회복력과 사회적 결속력을 증진하는 데 있어 살아있는 유산의 중요한 역할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케냐 북서부 지역에 위치한 카쿠마 난민캠프는 1992년 설립된 가장 오래된 난민캠프 중 하나이자 정식으로 등록된 난민 수가 20만 명에 육박하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 20주년과 ‘살아있는 유산’을 기념하기 위한 ‘위키 러브스 무형유산('Wiki Loves Living Heritage') 글로벌 캠페인 런칭 행사가 3월 17일 금요일 온라인을 통해 진행됐다. ‘위키 러브스 무형유산'은 살아있는 유산을 기록하고 기념하기 위해 전 세계의 무형유산 연행자, 위키미디어 자원봉사자 및 문화기관의 참여를 도모하는...
무형유산―살아있는 유산은 지속 가능한 발전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 또한 무형유산이 오늘날의 보건, 교육, 성별, 자연 재해 및 분쟁과 같은 개발 과제를 해결하는 것과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 살아있는 유산과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유네스코의 혁신적인 무크(MOOC) 과정을 통해 이와 같은 질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