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유산 웨비나 시리즈 세션 4가 오는 2020년 8월 12일 오후 4시(한국시간)부터 온라인으로 진행된다.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ICHCAP)와 유네스코 방콕사무소가 공동주관하는 무형유산 웨비나 시리즈는 2020년 6월 첫 세션을 시작으로 무형유산 보호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를 다뤘다. 세션 1, 2, 3에서는 코로나19가 무형유산 보호에 미치는 영향,...
'이렇게 말이야.' 나이 든 여성은 흐르는 물에서 손가락으로 붉은 렌틸콩을 훑으며 말했다. 내가 묵고 있는 게스트하우스의 주방에는 여럿이 모여 있었다. 스리랑카 캔디(Kandy) 교외의 한마을에 있는 이곳의 주방에는 가스버너 하나, 밥솥, 식탁 그리고 여러가지 향신료로 가득 찬 선반 하나가 전부였다. 이곳의...
유네스코의 2003년 무형유산보호협약에 따르면 "무형문화유산은 공동체·집단과 때로는 개인이 자신을 문화유산의 일부로 보는 관습·표상·표현·지식·기능을 의미한다." 빠르게 변하는 세상에서 나는 종종 미래의 학교가 어떠한 모습일지 생각해본다. 다양한 종류의 미래 학교와 창조 학교가 있지만, 여기서는 '공동체 학교'(community schools)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한다. 2001년 OECD에서...
오진희 ∣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연구정보실 전문관 아시아·태평양(아태) 지역 무형유산 정보가 한곳에서 펼쳐지는 디지털 플랫폼 ‘ichLinks(아이씨에이치링크스)’ 구축 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해당 사업의 1차 참가국으로 말레이시아, 몽골, 베트남 등 총 7개국이 선정됐다. 이 플랫폼은 해당 정보자원의 초국적 공유와 활용을 목표로 한다.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사무총장 금기형,...
과거에는 물리적인 구조나 유형성을 중심으로 문화유산을 정의하고 관리했다면, 현재는 자연·사회·문화적인 요소를 담은 비물질적이고 무형적인 유산의 가치에 집중하게 된 것이 오래된 일이 아니다. 모두가 인정하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지닌 것만이 아닌, 각 문화유산이 지니고 있는 대표성에 의미를 두고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함으로써...
제14차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에서 헤리티지얼라이브(#HeritageAlive) 편집위원회는 다음 도서 주제를 전통악기로 선정했다. 도서 발간을 위한 원고 제출은 2020년 10월 15일까지 가능하다. 전통악기에 관한 이번 도서는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의 지원을 받아 2021년 말께 발간되며 제16차 정부간위원회에서 배포될 예정이다. 제출 원고는 NGO와 전문가의 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