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0 무형유산 NGO 컨퍼런스
“위기의 시대, 무형유산과 회복탄력성”
코로나 이전(Before Corona(B.C.))과 이후(After Corona(A.C.))의 시대적 함의
<class=”text-center”>
개최안
개 요
장소 | 온라인 |
대표주제 | 위기의 시대, 무형유산과 회복탄력성 |
참가자 |
|
언어 | 영어 |
공동주관 |
|
배 경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와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이하 2003년 협약) 인가 NGO 협의체인 ICH NGO포럼은 코로나-19로 인해 어려운 상황에서도 온라인 회의 개최를 통해 무형문화유산 분야 NGO 간의 협력 교류를 지속하기로 하였습니다.
특히, 시의성을 고려하여 교육 현장에서의 무형유산 NGO의 역할과 도전과제의 광범위성과 깊이를 자세히 파악하고자 합니다. 코로나바이러스의 대유행 이후 박물관 및 미술관과 같은 다양한 문화기관들은 대중과 온라인을 통한 만남을 이어가고 있으며, 유네스코 역시 2003년 협약과 지속가능발전목표(특히 지표 4. 양질의 교육)과 연계한 사례 연구 수집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가치는 상황이 어려울 때 더욱 빛을 발하며, 무형문화유산 분야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늘날 살아있는 유산으로도 불리는 무형문화유산은 회복탄력성, 영감, 기쁨과 연대의 근원이라는 그 특성을 강조합니다. 이번 2020 ICH NGO 콘퍼런스는 NGO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밝은 미래를 위한 지금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입니다.
목 표
2020 ICH NGO 콘퍼런스는 무형문화유산과 교육의 상호관계를 지속가능한 발전의 차원에서 더욱 이해하고, 모범사례를 발굴하며, 유용한 정보 및 경험 공유를 통해 무형유산 NGO들에 힘을 실어주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현재의 예상치 못한 코로나 위기 상황에서도 많은 무형문화유산 NGO들은 전 세계에서 네트워크를 강화하며, 그들의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NGO는 정부와 지역사회를 연결하는 중재자로서,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이들의 활동을 공유하고 무형문화유산 보호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 위기에 처한 무형문화유산 NGO의 영향과 역할 이해 및 조사
- 실천 및 적용 가능하며, 실용적인 무형문화유산 보호 방법 논의
Day 1
11월 12일
14:00-14:10 | 개회식 | |
---|---|---|
14:10-14:30 | 특별강연 1 : 회복탄력성 체계 분석 | 로베르토 마르티네즈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
Session 1
코로나19 시대,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NGO의 역할
좌장: 금기형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14:30-14:45 | 문화유산 보호와 웰빙을 위한 무형문화유산 관리 방안 | 카롤리나 베르무데즈 (에트놀라노재단) |
|
14:45-15:00 | 홍콩 윤롱지구 공동체 기반 무형유산을 위한 거시적 발전 모델 구축 | 카이퀑 초이 (생명회복기금) |
|
15:00-15:15 | 코로나 대항 매개체로서의 짐바브웨 토착지식 | 알링턴 엔드로브 (아마구구국제유산센터) |
|
15:15-15:30 | ARHI의 전통염색기술 활성화 노력 | 디비야 보라(사회과학연구소) | |
15:30-16:00 | 질의응답 | ||
16:00-17:30 | 휴식 |
Session 2
코로나19가 NGO 활동에 가져온 변화
좌장: 림 샤크 (시리아발전신탁기금)
17:30-17:45 | 코로나19, ICCN 소속 도시들의 대응방안 | 훌리오 나세르 (무형문화도시연합) |
|
17:45-18:00 | 코로나 시대 예술과 문화교육 혁신 | 제프리 풀린 (크리에이티브 제너레이션) |
|
18:00-18:15 | 파키스탄 칼라샤 지역의 무형유산을 통해 보는 유산교육 촉진 | 지아수딘 피르 & 미자 우바이드(THAPP) | |
18:15-18:30 | 온라인 활동으로의 전환: NGO와 무형유산 공동체 간 디지털 간극 | 함한희(무형문화연구원) | |
18:30-19:00 | 질의응답 |
Day 2
11월 13일
14:00-14:20 | 특별강연 2 : 인가 NGO 지역 불균형에 대한 설문조사 | 마티 하카마키(핀란드민속음악원) |
Session 3
통섭: 무형유산 교육 분야 원형과 전형
좌장: 아난야 바타차리야(컨택베이스)
14:20-14:35 | 포스트 코로나, 공예 부문 공동체 회복탄력성 구축 | 조셉 로 (세계공예협회) |
|
14:35-14:50 | 예술과 영향력: 문화분야 기업 참여 과제 | 니콜라스 포젝(콜롬비아대학교) | |
14:50-15:05 | 청년 교육 강화를 통한 공동체 임파워먼트: 알프스 남서부의 무형유산 사례를 통하여 | 알레시오 레 (산타가타문화경제재단) |
|
15:05-15:35 | 질의응답 | ||
15:35-15:50 | 휴식 | ||
15:50-17:00 | 종합토론 코로나 이후 무형유산이 나아가야할 길 좌장: 자넷 블레이크(사이드베헤스티대학 교수) |
||
17:00-17:20 | 2020 무형유산 NGO 컨퍼런스 선언문 채택 | ||
17:20-17:30 | 폐회식 |
* 프로그램과 발표자는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